-----[동물]-----/연체·갑각류 91

다슬기

중복종목> 다슬기과 야행성으로 낮에는 수중 돌 밑이나 틈새에 숨어 있다가   어두워지면 슬슬 밖으로 나온다.  달팽이와 비슷해 보이지만 아강 수준에서 달라서 생물학적으로는 거리가 멀다.   당장 눈에 띄는 차이점으로 달팽이와는 달리 암수 구분이 있다는 점이 있다.  바위가 많은 강의 돌 틈 같은 데를 뒤지면 찾아볼 수 있다.   다슬기는 흔히 식용되지만 기생충의 일종인 폐흡충의 중간숙주이므로 날것으로 먹지 않아야 좋다.  식감은 조그만 고무조각처럼 쫄깃하고, 맛은 고소하며 끝맛이 약간 쓰다.  의외로 쌉쌀한 편이다.  익혔을 때 익은 살점과 국물이 비취 같은 녹색이기 때문에 예민한 사람은 비위가 상할 수 있다.  또 다슬기가 껍데기 입구를 막을 때 쓰는 얇은 뚜껑이 있는데  이게 잘 씹히지 않고 치아 사..

농게(암 수)

갑각강> 십각목> 달랑게과 40년 전에만 해도 갯벌 위에 농게가 장관을 이루고 있어 맘 먹고 잡으면 한 주전자 가득 잡아 간장에 담가 게장으로 먹었던 추억이 있다. 40년 전에만 해도 갯벌에 가면 농게가 많이 잡혀 한 데빡씩 잡아 간장에 담가 게장으로 먹곤 했던 시절이 있다. 농게의 가장 큰 특징은 수컷의 한쪽 집게발이 갑각 안면을 전부 가리고도 남는 유난히 긴 다리로 다른 게들과 쉽게 구별이 된다. 수컷의 갑각길이 30mm, 갑각너비 약 32mm이며 갑각은 앞이 넓고 뒤가 좁은 사다리꼴이다. 이마는 좁고 길게 아래쪽으로 튀어나왔으며 눈구멍은 넓고 눈자루는 길다. 암컷의 양 집게다리는 작고 대칭이고 집게발가락은 길고 숟가락모양이어서 갯벌에서 먹이를 긁어 먹기에 알맞다. 수컷의 한쪽 집게다리는 암컷과 같으..

참게

절지동물> 십각목> 바위게과의 갑각류 갑각길이 약 63mm, 갑각너비 약 70mm이다.갑각은 둥근 사각형이다.이마에는 납작하고 삼각형인 이모양 돌기가 4개 있다.갑각의 옆가장자리에는 눈뒷니를 포함하여 4개의 뽀족한 이모양 돌기가 있는데 뒤로 갈수록 작아진다.갑각 윗면은 약간 볼록하고 H자모양 홈이 뚜렷하다.양 집게다리는 댜칭을 이루며 억세고 가시가 있다.집게바닥은 짧고 넓은데, 앞면과 집게 아래쪽에 연한 털다발이 있다.걷는 다리는 가늘고 길다.식성은 잡식성으로 바다에 가까운 하천 유역에 많고, 논두렁 또는 논둑에 구멍을 파고 살기도 한다.페디스토마의 중간 숙주이므로 참게를 잡거나 사고 파는 것을 금지하기도 한다.한국에서는 황해로 흘러드는 하천 수역에 분포한다.

무늬발게

십각목> 바위게과 우리나라 전 해역에 분포하고, 비교적 맑은 물의 암석 또는 자갈 조간대에 서식하며, 바위 틈이나 큰 돌 밑에 숨어 있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갑각길이 약 28mm, 갑각너비 약 32mm이다. 갑각은 뒷부분이 좁은 사각형이며 모서리에 알갱이모양 돌기가 있다. 이마는 넓어서 갑각너비의 2분의 1 정도이고 챙모양으로 약간 튀어나온다. 앞가장자리는 거의 곧다.옆가장자리에 눈뒷니를 포함해서 3개의 이가 있다. 모두 넓은 가시형태이다. 갑각 윗면은 털이 없이 매끈한데, H자모양 홈이 뚜렷하고 오목한 점무늬가 아치모양으로 늘어선다.  양 집게다리는 대칭이다.  걷는다리는 잘 발달하였으며 표면에 붉은빛을 띤 보라색 점이 모여서 된 가로무늬가 있다. 배는 암수 모두 7마디이다. 물이 맑은 조간대..

피뿔고둥 과 소라

연체동물> 신복족목> 뿔소랏과의 고둥 표준명: 피뿔고둥, 방언: 참소라(서해)피뿔고둥 껍데기는 두껍고 단단하며 높이는 15~20cm, 지름은 12cm 정도이다.  표면은 엷은 갈색 바탕에 어두운 갈색의 나선형 띠무늬가 있고 속은 주황색이다. 껍데기 구멍에는 큰 뚜껑이 있다. 보통 '소라' 혹은 '참소라'라는 별칭으로 많이 불린다.서해안 쪽에서 소라라 하는 건 대부분 이 피뿔고둥을 일컫는다.소라라고 부르는 종류 중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놈이다.피뿔고둥은 우리나라 서/남해 연안 수심 10m 내외의  모래 혹은 암반지대(특히 민물이 혼입되는 기수지역)에서 비교적 흔하게 서식하는 종이다.  이 놈은 '각고(껍데기 높이)'에 비해 '각폭(껍데기 너비)'이 꽤나 크다. 거기다 큰 건 20cm 이상 자라기도 ..

삿갓조개(배말)

연체동물문> 복종강> 삿갓조개과에 속하는 권패류. 바위지역에서 고둥과 함께 바위에 붙어사는데 눈에 잘 띄지 않으며,  몸 크기는 높이 1cm, 너비 2.5~3cm, 폭 2~2.5cm 정도의 타원형의 삿갓 모양.삿갓조개는 그 모양이 타원형의 삿갓처럼 생겨서 이름이 붙여졌고,지역마다 배말.보말.따개비라 불리운다.삿갓조개는 바위에 붙어있는 미세조류를 먹고 살고 있으나  바위에 부착한 빨판의 힘이 너무 강하여 사람의 손으로는 떼어내기가 거의 불가능하고  예리한 칼이나 도구를 사용해야만 채취할 수 있다. 특히 해안의 바위에 붙어 살다보니 삿갓조개는 시속 500km의 파도가 쳐도 떨어지지 않고 서식하는 초능력적인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학자들의 연구 결과 삿갓조개의 이빨이 자연계 생물체에서 발견된 것 가운데 ..

보말고둥(배꼽발굽골뱅이)

연체동물> 복족류> 원시복족목> 밤고둥과 패각은 낮은 원추형, 나층은 8층, 각 층은 봉합에서 좁아져서 위층과 계층을 이루고 봉합은 명확하다.체층의 견각은 없으나 주연은 둥글면서도 각이 진다.체층과 차체층에는 흑색의 종륵이 체층에는 22줄, 차체층에는 15줄이 있다.태각을 제외한 그 위층들에는 종륵은 없고 나륵만 있다.나층에는 매우 가늘고 세밀한 나륵이 있는데, 물결모양의 나선상 방사륵에 의하여 거칠게 보인다.각저는 약간 부풀어져 있고 나륵이 조밀하게 있다.체층의 바탕은 회황색, 차체층 이상은 회갈색, 태각은 백색이며 각저는 회록색 바탕에 회갈색 무늬가 나선을 그리며 방사상으로 나 있다.각구는 사각형. 외순은 두껍고 내면은 매끈하며 진주광택이 있다.축순은 백색 활층으로 중간에 강한 치상돌기가 있다.제공은..

살조개

연체동물문> 이매패강> 백합목> 백합과 옛날에 많이 봤던 조개인데, 요즘은 보기가 힘들다. 우리나라 전 연안의 모래 또는 모래자갈 갯벌 하부 조간대에서부터 수심 2m 전후의 조하대에서 발견되지만 그리 흔치는 않다. 껍질은 타원형으로 둥글고 두꺼우며 부채살 마루가 있다. 질은 반지락과 비슷하나 둥글며 각폭이 크다. 표면에는 강한 방사륵과 성장윤맥이 교차함으로써 매우 거칠게 보인다. 늑상의 윤맥은 약한 비늘 모양이 된다. 패각은 두꺼워서 잘 부서지지 않으며 각장은 보통 5cm 전후이다. 색깔은 붉은색, 자색, 오렌지색, 노란색, 흰색 등으로 다양하며 별칭으로 살반지 ,살조개.쌀댕이 ,돌조개 등으로 불린다.

군부

연체동물문> 다판강> 신군부목> 군부과우리나라 전 연안의 암반 및 큰 자갈 조간대 중 · 하부에서부터 수심 3m까지의 조하대에서 흔히 발견되는 몸통길이 5cm 전후의 중형 군부류이다.   전체 몸통의 크기에 비해 각판이 차지하는 정도가 매우 크며(4/5)  각판은 보통 곰팡이에 의해 부식되어 있거나 마모에 의해 거칠게 닳아 있는 개체가 흔하다.   육질부는 전체적으로 작고 짧지만 단단한 가시들로 덮여 있다. 기질에 대한 부착력이 매우 강해서 물리적 자극을 받은 상태에서 도구 없이 떼어 내기가 매우 어렵다.   제주도에서는 ‘군벗’이라고 하는데, 제주도에서는 즐겨 먹는 식재료다.   지방에 따라 굼부, 곰벗, 곰보 , 딱지조개 등으로도 불린다.   생김새가 마치 벌레같다. 꼭 쥐며느리 같기도 한데 다행히 ..

뿔두드럭고둥

복종강> 신복족목> 뿔소라과 서해 연안에 분포하며 암반 또는 자갈 조하대 하부에서 주로 발견 비교적 흔한 패각길이 3cm 전후의 육식성 중형 고둥류이다.  굴, 담치 및 따개비 등의 껍질에 구멍을 뚫고 육질부를 섭식하기 때문에  대수리와의 먹이경쟁이 일어난다.  대수리에 비해 패각의 두께가 다소 얇고 황갈색이 상대적으로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