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버섯 58

영지버섯(어린것)

불로초과 이제 버섯의 계절이 왔나보다.  참나무 군락지에 영지버섯이라고 하기엔 너무 어린 영지버섯 영지버섯 몇개가 올라 온다.   완성된 버섯보다 이제 부풀어 오르는 어린 영지라 여러 각도에서 여러번 셧터를 눌렀다. 영지의 한자명은 신령스럽다는 의미의 '靈'과 버섯을 의미하는 '芝'를 사용하고 있다.  십장생 중의 하나며, 진시황이 찾던 불로초 등의 이야기로 회자되고 있다.  영지는 신체가 허약할 때 기혈(氣血)을 보충해주며 심신(心身)을 안정시키고 소화기를 건강하게 해준다. 영지중 갓을 형성하는 것은 갓이 목질화되어 딱딱하며 반원형 또는 콩팥모양을 이루며 이를 편목지(片木芝)라고 한다. 하지만 갓을 형성하지 못하는 것은 사슴뿔의 형태로 자라기도 하며 이를 녹각지(鹿角芝)라고 한다. 갓의 색은 붉은색, ..

영지(靈芝)버섯

담자균류> 구멍장이버섯목> 불로초과 참나무 숲에서 1년생 영지를 4월 초에 만났으니 지난 해에 자란 묵은 영지버섯이 겨울을 보내고도 자태를 흐트리지 않고 있어 평소 같으면 사진만 찍고 물러났을 텐데 이번엔 뿌리를 보고싶어 캐 보기로 헸다. 조금만 캐면 뿌리끝이 나올줄 알았는데 의외로 뿌리를 깊이 내리고 있는게 아닌가 부엽토로 땅 파기는 어렵지 않았는데 도로 묻어야 하는것 아닌가 후회가 된다. 마음은 후회를 하면서도 땅파기를 멈추질 않았다. 또 다시 뿌리를 보고자 땅파는 행위를 하지않기 위해서인데 결국은 뿌리끝을 못보고 땅파기를 멈추고 캔 뿌리만 들어올려 사진을 찍었다. 영지버섯은 1년생 버섯으로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활엽수 뿌리 밑동이나 그루터기에서 주로 자란다. 간혹 기주체(寄主體)인 나무가 땅속에 있..

아까시재목버섯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일 년 내내 살아 있는 활엽수에 수평으로 자란 버섯갓이 여러 개가 겹쳐 큰 무리를 지어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5~20cm, 두께 0.5~1.5cm로 처음에는 반구형이며 연한 황색 또는 난황색의 혹처럼 덩어리진 모양으로 발생하였다가 생장하면서 반원형으로 편평해진다. 갓 표면은 적갈색이나 차차 흑갈색이 되며, 각피화 된다. 갓 가장자리는 성장하는 동안 황색이고, 환문이 있다. 조직은 코르크질이고 연한 황갈색이다. 자실층은 황색에서 회백색으로 되며, 상처를 주면 검은 갈색의 얼룩이 생긴다. 관공은 한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멍은 원형으로 조밀하다. 봄부터 가을에 걸쳐 벚나무, 아까시나무 등 활엽수의 살아 있는 나무 밑동에 무리지어 발생하며, 목재를 썩히는 부생생활을 ..

졸각버섯

담자균류> 주름버섯목> 송이과 여름과 가을에 길가나 활엽수림 숲속 나무 밑에 무리지어 자란다. 처음에는 둥글고 후에는 편평해지며 가운데가 배꼽 모양으로 파여 낙하산을 편 것 같다. 갓 표면은 연한 홍갈색이고 주름살은 홀갈색이며 자루에 올려 붙어있다. 소형버섯 이지만 식감이 쫄깃쫄깃해 국, 찌개, 볶음이나 라먄에 넣으면 맛이 일품이다. 졸각버섯은 갓의 지름이 통상 1.5~3cm에 못 미치는 작은 크기라  먹을 만큼 채취하려면 시간이 많이 걸린다.

간버섯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일 년 내내 침엽수와 활엽수의 죽은 줄기나 가지에 홀로 난다.갓은 옆지름 3~10cm, 두께 5mm 이하로 반원형의 부채 모양으로 편평하다.갓 표면은 융털이 나 있고 매끄러우며, 처음에 담홍색이었다가 나중에 회백색으로 변하며 진하고 연한 색의 고리무늬가 생기기도 한다. 살은 약간 누런빛을 띤 붉은색이다. 자루가 없으며 조직은 코르크질 또는 가죽처럼 질기다. 관공은 길이 1~2mm로 가는 원형의 구형이며 1mm 사이에 6~8개가 있고약간 누런빛을 띤 어두운 붉은색이다. 죽은 나무에서 자란 균사는 진한 담홍색을 띤다.

아카시재목버섯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일 년 내내 살아 있는 활엽수에 수평으로 자란 버섯갓이 여러 개가 겹쳐 큰 무리를 지어 자란다.  버섯갓은 지름 5~20㎝, 두께 0.5~1.5㎝로 반원 모양이거나 편평하다.  갓 표면은 잿빛 갈색, 붉은 갈색, 검은 갈색으로 가장자리는 노란색이고 동심원처럼 생긴 고리무늬가 있는 것도 있으며 밋밋하다. 살은 나무색 또는 누런 흰색이다.  갓 아랫면은 처음에 노란색이다가  나중에 잿빛 흰색으로 변하며 어두운 갈색의 얼룩이 있다.  관은 한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멍은 원형으로 가늘다.  홀씨는 5~7×4.5~5㎛로 달걀 모양이고 색이 없다.  목재부후균으로 흰색 부패를 일으킨다.

검은쓴맛그물버섯

그물버섯목> 그물버섯과 자실체는 둥근산모양에서 거의 편평형으로 되며 갓은 6~14cm로 표면의 점성은 없다. 자실체의 조직은 두껍고 단단하며 회백~녹황색으로 공기에 닿으면 담회~암회으로 된다. 상처를 받으면 서서히 흑색으로 되며 구멍은 관공과 같은 색이고 소형이고 각진형이다..특유의 냄새와 맛은 없다. 버섯대의 크기는 5~10 × 1~2.5cm이고 섬유질의 긴 원통형으로 아래쪽으로 두꺼워지며 속이 차 있다. 표면은 황록색을 띠고 융기된 그물 무늬가 있다.  무언가에게 자실체에 심한 상처를 입고 찟어져 있는데 여타 버섯 같으면 으깨졌을 텐데 단단한 버섯이라는걸 증명하듯 심한 상처에도 깊은 속살만 보여주며 버티고 있었다.

붉은덕다리버섯

민주름버섯목> 구멍장이버섯과 붉은덕다리버섯의 갓은 지름이 5~20cm, 두께 1~3cm 정도이며, 부채형 또는 반원형이다.  표면은 선홍색 또는 황적색이나, 마르면 백색으로 된다. 갓은 성장하면서 여러 개가 겹쳐서 난다. 갓 둘레는 파상형 또는 갈라진형이다. 조직은 초기에는 갓 표면과 같은 색을 띠며 탄력성이 있고 유연하나, 성숙하면 점차 퇴색하여 백색으로 되며 잘 부서진다. 자실층은 관공형이며, 관공은 길이가 0.2~1cm 정도이며 황갈색이다. 관공구는 작으면서 원형이다. 대는 없으며, 갓의 측면 일부가 직접 기주에 부착되어 있다. 포자문은 백색이며, 포자모양은 타원형이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활엽수의 생목이나 고목 그루터기에 발생하며, 목재를 썩히는 부후생활을 한다. 어린 시기의 자실체는 식용하고 있..

고동색우산버섯

주름균강>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 균모의 지름은 4~10cm로 종모양에서 차차 편평해지며 중앙부는 돌출한다.  표면은 습기가 있을 때 점성이 있고 매끄러우며 홍갈색으로 중앙은 암색이다.  가장자리에 줄무늬홈선이 있다.살은 백색으로 맛은 온화하다. 주름살은 자루에 대하여 떨어진주름살로 백색이며 밀생하고 폭은 넓다. 주름살의 가장자리는 톱니모양이다. 자루의 높이는 7~16cm, 굵기는 0.6~1cm로 아래로 가늘어지고 균모와 동색이고 연한 색의 가는 가루모양의 인편으로 덮이고 속은 비어 있다. 턱받이는 없으며 대주머니는 자루(주머니)모양으로 높이 4~5cm로 영존성이며 균모와 동색이거나 희미하고 황토색의 반점이 있다.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숲 속의 땅에 홀로 나거나 흩어져 발생하며, 외생균근성 버섯이다.어린 ..

영지버섯 새순

구멍장이버섯목> 불로초과    1년생 버섯으로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활엽수 뿌리 밑동이나 그루터기에서 주로 자란다.    간혹 기주체(寄主體)인 나무가 땅속에 있는 경우는 영지가 땅에서 돋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다.  갓과 자루의 표면에 옻칠을 한 것과 같은 광택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갓은 지름 5~15㎝, 두께 1~1.5㎝로 반원 모양, 콩팥 모양, 부채 모양이며 편평하고 동심형의 고리 모양 홈이 있다.  갓 표면은 처음에 빛나는 듯한 노란빛을 띠다가  누런 갈색 또는 붉은 갈색으로 변하고 늙으면 밤갈색으로 변한다. 종종 갓의 표면 부분이 갈색의 흙먼지로 뒤덮인 것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이는 영지의 포자로 인한 것이다.  갓살은 코르크질이며,  상하 2층으로 상층은 거의 흰색이고 관공(管孔)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