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양서류 24

참개구리

무미목> 개구리과 참개구리를 논개구리라고도 한다. 등면의 바탕색은 개체에 따라 변이가 많아 대개 녹색, 갈색, 연한 회갈색 그리고 황색으로 되어 있다.   등 중앙선에는 주둥이 끝에서 항문까지 연한 색의 세로줄이 있으며 등 옆면의 융기선도 같은 색으로 되어 있어서 모두 세 개의 연한 색이 세로로 이어져 있다.   번식기가 되면 못자리 또는 논과 같이 얕게 고인 물에 많은 수가 모여 산란하는데, 암 · 수가 포접한 채로 지름 20cm 되는 커다란 알 덩어리를 산란한다.   알 덩어리는 접착성이 없으며 다른 물체에 부착하지 않고 그대로 물속에 잠겨 있으면서 부화한다.   한 개의 알 덩어리에 약 1,000개 정도의 알이 들어 있으며 알의 지름은 1.6~1.8㎜이다. 수컷은 턱의 기부에 좌우 1쌍의 울음주머니..

북방산개구리

무미목> 개구리과 몸길이 4∼7㎝로 우리나라 전역에 서식하며주로 산과 계곡의 낙엽이나 돌, 산지와 인접한 경작지, 농수로, 하천 등지에서 관찰된다.  등면은 갈색 또는 짙은 갈색이나 검은빛을 띤 갈색의 불규칙한 무늬가 흩어져 있다.   고막의 주위에 검은색의 가로무늬가 있고, 콧등에 점무늬가 있다. 배면에는 회색의 구름무늬가 있다. 주둥이 끝은 둥글고 뾰족한 편으로 안비선이 뚜렷하며, 고막은 뚜렷하고 대체로 원형을 이룬다.  몸통은 좁고 가늘며, 옆 융기가 뚜렷하다. 수컷이 암컷보다 작으며, 산란기는 4∼5월이다.   북방계에 서식하여 북방산개구리로 불린다

아프리카발톱개구리

무미목> 피파과 뒷발의 발가락 3개에 달린 검은 단단한 발톱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 12cm까지 성장한다. 대부분의 피파과의 개체들이 그러듯이 혀와 이빨이 없다. 수컷의 경우 손바닥에 작은 털이 나 있다. 암컷은 수컷에 비해서 몸이 크며 꽁무니에 돌기가 튀어나와 있는 것이 특징이다. 몸에 전체적으로 얼룩무늬가 있고 뒷발의 발가락 3개에 달린 발톱은 매우 단단하다. 성체가 되어도 물속에서 생활하며, 호흡은 폐를 통한 공기호흡을 한다. 위험시에는 발톱을 사용해 진흙속을 헤집고 들어가 천적으로부터 몸을 지킨다.   원래는 발생학 연구실 등에서 실험용으로 이용되는 개체였으나 수명은 약 20년으로 요즘은 애완으로나 관상개구리로 많이 이용된다고 한다.

한국산개구리

양서류> 무미목> 개구리과 산개구리류(북방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 한국산개구리)중에서 가장 작다.몸통은 갈색이며 주둥이가 뽀쪽하고 유선형으로 날씬하다.다리에 몸통보다 진한 검은색의 줄무늬가 있다.  ※ 양서류: 어릴 때에는 민물에서 살면서 아가미로 호홉하고청체가 되면 폐와 피부로 호홉하며 심장이 2심방 1심실로 되어 있다.피부는 항상 축축하게 젖어 있고 물속에서 체외 수정을 한다.

무당개구리

양서류> 무미목> 무당개구리과등면의 피부는 조잡하며, 크고 작은 돌기가 있고, 검은빛을 띤 녹색, 푸른빛을 띤 녹색또는 갈색 바탕에 불규칙한 검은색 무늬가 산재되어 있다. 연못이나 산골짜기의 맑은 물에 살며 겨울에는 돌 밑이나 땅 속으로 들어가 동면한다.피부에 점액선이 있으며 여기서 나오는 점액은 몸의 습기를 유지하거나일부 쓴맛의 독을 만들어 인체의 점막에 닿으면 강한 자극을 준다. ※ 양서류: 어릴 때에는 민물에서 살면서 아가미로 호홉하고청체가 되면 폐와 피부로 호홉하며 심장이 2심방 1심실로 되어 있다.  피부는 항상 축축하게 젖어 있고 물속에서 체외 수정을 한다.  머리와 네 다리의 등면에 검은색 띠무늬가 있다.배면은 매끄럽고 붉은색 또는 누런빛을 띠는 붉은색의 선명한 바탕색에검은색의 불규칙한 무늬..

옴개구리

양서류> 무미목> 개구리과 주로 하천, 계곡 등의 물속 돌 아래에서 대부분을 살며겨울에는 물속 돌 밑에서 겨울잠을 잔다.몸에 돌기가 있고 몸 색은 진한 갈색이며 배는 흰 바탕에 점무늬가 있다. 몸에는 독이 있어 식용으로 하지 못한다.  ※ 양서류: 어릴 때에는 민물에서 살면서 아가미로 호홉하고청체가 되면 폐와 피부로 호홉하며 심장이 2심방 1심실로 되어 있다.피부는 항상 축축하게 젖어 있고 물속에서 체외 수정을 한다.   홍천강에서 지난밤 어부가 설치한 그물에 재수없이 걸려 밤새 허우적 거렸을텐데새벽에 끌려나왔지만 어부는 이놈을 천대하며 그물에서 떼어 놓지않아맨 마지막 까지 그물에 대롱대롱 매달려 있던 놈이다.

금개구리

양서강> 무미목> 산개구리과 몸길이 약 6㎝로 참개구리와 모습이 비슷하지만등면은 밝은 녹색이며 등 중앙에 줄이 없고  등 양쪽에 2개의 굵고 뚜렷한 금색줄이불룩 솟아 있어 '금줄개구리'라고도 한다.  몸의 등쪽은 밝은 녹색이고 배쪽은 누런빛을 띤 붉은색이다.주둥이는 앞끝이 둥글고 콧구멍은 타원형이다.눈꺼풀이 잘 발달되어 있고 동공은 검은색이다.홍채는 대개 황금색 가루를 뿌린 것 같으며, 각막은 누런빛이 도는 푸른색을 띠고 있다.몸통은 팽대되어 있고, 등쪽에 둥근 융기가 촘촘히 있다.  암수 모두에게 울움주머니가 덜 달발하여 큰수리로 울지 못하며우리나라 고유종으로 멸종위기종 2급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으며한국 서부지역에 평지에서 낮은 구릉의 물웅덩이, 수로, 논밭 등에 서식한다. ※ 양서류: 어릴 때에는..

개구리 알

양서강> 무미목> 개구리과 '개구리알'   개구리알을 지키는 어미(산개구리) 대동강물이 풀리고 개구리가 입을 뗀다는경칩이 지났으니 물가를 살펴봤지요.  개구리가 알을 낳고 홀쭉한 몸매로 곁을 떠나지 못하고 모성애를 발휘하고 있군요.   개구리알이 여기저기 제법 많이 보입니다.       어미(산개구리)가 나를 경계하는것 같아 자리를 비켜줘야겠군요.

두꺼비

양서류> 개구리목> 두꺼비과 몸길이 60~100mm로 우리나라 양서류 중 도입종인 황소개구리를 제외하고는 가장 큰 대형종  집단을 이루어 산란하고 장소를 변경하지 않는 습성이 있다. 알의 형태는 다른 양서류와 달리 끈모양으로두줄로 산란을 하며 1,000개 정도의 알을 낳는다.    ※ 양서류: 어릴 때에는 민물에서 살면서 아가미로 호홉하고청체가 되면 폐와 피부로 호홉하며 심장이 2심방 1심실로 되어 있다.피부는 항상 축축하게 젖어 있고 물속에서 체외 수정을 한다. 두꺼비는 위험할 때는 피부로 독을 분비한답니다.  등면에 골질의 융기가 있다. 아이들이 흙속에 주먹을 묻고 집을 짓는다고 하며두꺼비에게 헌집 줄께 새집 달라고 노래를 부르던 그 '두꺼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