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덩굴식물 153

노박덩굴

노박덩굴목> 노박덩굴과덩굴성으로 줄기가 길 위에 까지 뻗쳐나와 길을 가로막는 덩굴이라는 뜻에서노박덩굴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는 설이 있다.전국 산야의 표고 100~1300m 사이에서 자생한다.줄기는 밑부분이 목질이며, 윗부분은 덩굴이 되어 뻗는다.햇빛을 좋아하는 나무로 숲 안으로 들어가면 보기 힘들고,숲 가장자리나 숲길 주변에서 주로 자란다.잎은 달걀 모양으로 어긋나며, 가장자리는 톱니처럼 되어 있다.꽃은 녹황색으로 5월경에 잎겨드랑이에서 취산꽃차례를 이루면서 피는데.각각의 꽃은 지름 4mm 정도로 매우 작아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암수딴그루로서, 암꽃, 수꽃이 모두 5수화이다.열매는 식과로 10월경에 엷은 황색으로 익는데,익은 후에는 3갈래로 벌어져 주황색 씨가 들어나게 된다.한약명으로 줄기는 뱀처럼 생..

오미자(五味子)

오미자과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을 느낄 수 있어 오미자라고 불린다.  그중에 신맛이 강하다. 꽃이 핀 다음 암꽃의 꽃턱은 길이 3∼5cm로 자라서 열매가 포도송이 처럼 달린다.  열매는 거의 둥글고 8∼9월에 공 모양으로 지름 약 1cm이고 짙은 붉은 빛깔이다.  속에는 붉은 즙과 불그스레한 갈색 종자가 1∼2개 들어 있다. 종류에는 오미자(북오미자), 남오미자, 흑오미자 등이 있다.  오미자는 주로 태백산 일대에 많이 자라고 남오미자는 남부 섬지방, 검은열매의 흑오미자는 제주도에서 자란다.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쓴다. 폐 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 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을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말린 열매를 찬물에 담가 붉게 우러..

박주가리

용담목> 박주가리과우리나라 전역의 농촌이나 도시 교외로 나가면 흔하게 볼 수 있는 덩굴식물로 둑이나 제방, 밭 언저리에서 쉽게 만난다. 특히 가을부터 겨울에 걸쳐서 반으로 쪼개진 열매 속에서면사상(綿絲狀) 털이 있는 종자가 바람에 날리는 것이 인상적이다.줄기: 여러해살이 덩굴 초본으로 덩굴이 길이 3m 정도로 자라며,식물체에 상처를 내면 백색 유액이 나오며 유액에 독성분이 들어 있다.  땅속줄기(地下莖)는 아니지만 뿌리가 기면서 뻗고, 거기에서 새싹이 나와 번식한다.  잎: 마주나며(對生), 부드러운 털이 있으며,  뒷면은 분청색이다. 만져보면 부직포처럼 부드럽다.  꽃: 7~8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화관은 넓은 종처럼 생기고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안쪽에 털이 빽빽이 난다. 마디..

오미자(五味子) 익어가는 계절

목련목> 오미자과낙엽 활엽 덩굴성 나무에 잎은 어긋나며 홑잎으로 가장자리에 이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은 암수딴그루로 5-6월에 연노란색으로 핀다. 열매는 공 모양으로 지름 약 1cm이고, 꽃턱에 여러개가 이삭 모양으로 달려 짙은 붉은 빛깔로 익는다.  열매 속에는 붉은 즙과 불그스레한 갈색 종자가 1∼2개 들어 있다. 단맛, 신맛, 쓴맛, 짠맛, 매운맛 등다섯가지 맛을 느낄 수 있어 오미자라고 불리며 그중에 신맛이 강하다. 심장을 강하게 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어 강장제로 쓴다.  폐 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 거담 작용이 있어서 기침이나 갈증 등을 치료하는데 도움이 된다. 말린 열매를 찬물에 담가 붉게 우러난 물에 꿀, 설탕을 넣어 음료로 마시거나 화채나 녹말편을 만들어 먹는다.  밤,..

칡꽃

장미목> 콩과 9월 중순에 찍은 꽃이지만 열매가 열리고 익어가야 할 시기인데 늦게 까지 붉은 자주색 꽃을 달고 있다. 꽃잎은 5장이며 바깥에는 안에 노란 무늬가 있는 큰 꽃잎, 중간에 작은 날개 모양의 꽃잎 2장, 안쪽 새부리처럼 모여 암술과 수술을 감싸는 꽃잎 2장이 나비 모양을 이룬다. 꽃받침잎은 5가랠로 뾰족하게 갈라지며 흰 보라색을 띤다.  칡꽃은 길이가 2cm 내외에 달하지만, 통이 좁고 깊어서 밀원식물오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한다.하지만 꽃이 있으니 벌이 날아와 마지막 서로의 사명을 다 하려고 노력 하는데 너무 늦은것 같았다.

영여자(마 씨앗)

백합목> 마과 마는 전국 산지에 분포하며 덩굴성 여러해 살이 풀이다. 마의 씨앗을 영여자라 부르며, 영여자는 잎겨드랑이에 생기는 살눈으로 살눈은 7~8월에 생겨서 9월에 완숙되어 덩굴에서 떨어지는데 길이 15mm 내외, 폭 28~28mm이다. 마는 살눈으로 번식하거나 뿌리 윗부분의 묘두로 번식하므로  재배에 있어서도 이 두 가지를 이용한다. 또 뿌리의 작은 눈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영여자: 마의 줄기 겨드랑이에 달리는 영양체

며느리배꼽

마디풀목> 마디풀과의 덩굴식물 육질화 되어 꽃봉오리 같이 생긴 하늘색의 껍질(꽃받침) 속에 광택이 나는 까만 열매가 있다. 비슷함 식물로 '며느리밑씻개'가 있다. 들에서 흔히 자라며, 길이 1~2m로 지리고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어 올라간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3~6cm이며 긴 잎자루가 다소 올라 붙어서  배꼽같이 보인다고 하여 배꼽이라는 이름이 생겼다. 잎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뒷면은 흰빛이 돌며 잎맥을 따라 잔 가시가 있다. 꽃은 엷은 녹백색으로 7~9월에 피고 꽃이삭 밑에 잎 같은 포가 있다. 열매는 달걀모양의 구형이고 다소 세모지며 운기가 나는 흑색이고  육질화한 하늘색 꽃받치믕로 싸여 있다.

계요등

용담목> 꼭두서니과의 낙엽 덩굴성 여러해살이풀 계요등(鷄尿藤)은 닭의 오줌 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오랜만에 만난 기쁨에 여러장을 찍었다. 리기다소나무를 감고 오르며 주위에 잡초와 뒤엉키고  심지어 땅을 기기도 하니 빛이 잘 안들어 힘들게 살아가는 것 같다.  길이 5~7m로 자라며 7~9월에 피는 꽃은 지름 4~6mm, 길이 1~1.5cm로 작은 나팔 모양을 한 통꽃이며 겉은 하얀색이고 통부 안쪽은 붉은 보라색을 띤다. 바닥을 기는 줄기엔 벌써 콩알 모양의 초록 열매가 주렁주렁 매달려 익어가려고 한다.                        계요등 열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