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07

서울 삼성동 봉은사 '판전'

판전은 비로자나부처님으 모시고 있으며 1855년 남호 영기 스님과 추사 김정희 선생이 뜻을 모아 판각한 화엄경 소초 81권을 안치하기 위하여 지어진  정면 5칸 측면 3칸, 익공식 맞배지붕으로 지어진 전각이다.   후에 다시 유마경, 한산시, 초발심자경문, 불족인 등을 더 판각하여  현재 3,438점의 판본을 보관하고 있으며 봉은사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이다.  특히 판전 편액은 추사 김정희 선생의 마지막 글씨로 유명하다.  판전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84호로 판전에 판각된 화엄경 판본은 83호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판전' 편액 서울시 유형문화재 제83호 시대 : 1856년(철종 7)  이 현판은 조선 후기 문인서화가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 :1786~1856)가 별세하기 3일 전에 썼다고 한다..

서울 삼성동 봉은사 '충령각'

'영각'은 기존 충령각을 지난 1992년 증축한 것으로  전각의 이름처럼 봉은사의 개산조인 연회국사를 비롯해 불교 고승의 진영과 함께 한국전쟁 당시 희생된 201위 호국영가의 영단이 설치어 있다.   '영각'   '충령각'   영각에는 불단에 지장삼존불상과 탱화가 있고  벽면으로는 봉은사의 개산조인 연회국사를 비롯한   조선불교의 중흥조 보우대사와 서산, 사명, 남호 영기율사. 영암, 석주스님 등  7분 스님의 진영이 모셔져 있으며 오른쪽 벽면으로는 6.25전쟁 전후 희생된 201위 호국영가의 명단이 설치돼 있다. 1967년 7평으로 지어졌던 충령각을  1992년 두 배 규모로 증축하여 영각으로 개정했다.            '영각' 앞에 머릿돌이 있고 뒷면에 글이 있어 사진을 찍어  사진을 올려 놓으면..

서울 삼성동 봉은사 '미륵대불'

미륵대불은 1986년 영암큰스님께서 발원하였으며 봉은사 사부대중이 모두 참여하고 1만 명 이상이 불사에 동참하였다.   10년간에 걸쳐 이루어진 대작불사로 1996년에 완공된 봉은사 성보로써 높이 23m이며 국내 최대 크기의 부처님이다.  현재 미륵전과 미륵부처님이 모셔진 광장은 신도들의 기도 장소이지만경우에 따라 공연 등 문화 행사장으로 사용된다.               금강역사 뒷 부채꼴 벽면 양 끝에 각각 하나 씩 있다.  미륵대불 받침 8면에 있는 부조            다섯번째 보살 입상엔 유일하게 금지팡이를 집고 있어 원가 특별해 보이는데 알 길이 없다.  뒤 벽에 단이 있고 단에 작은 불상(미륵불) 정 가운데 미륵가족불벽 앞에 보살입상벽 양 끝에 금강역사          대불전을 오르면 ..

서울 삼성동 봉은사 '영산전, 북극보전'

대웅전 뒷편에서 영산전을 올려다 보며 찍은 사진   '영산전' 편액 굵은 획으로 '殿山靈'이라고 쓴 글씨에는  획의 굵기 만큼이나 묵직한 무게가 실렸다.    글자의 구성이나 배치도 사전에 충분히 고려한 듯  '靈' 자에서는 가운데 '口'자 하나를 빼서 복잡함을 피했고  '山'자는 위로 바짝 올려 붙여  굵은 글자 셋이 나란히 놓일 때의 답답함을 시원스럽게 극복했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획과 획은 긴밀하게 짜여 엉성한 구석이 전혀 없다.    작자는 백련 지운영(白蓮 池雲英, 1852~1935)으로  종두법 시행의 선구자인 지석영의 형이자 20세기 초에 활약했던 서화가이자 사진가이다.      영산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시고  좌우보처인 가섭존자와 아난존자의 양 옆으로 16 아라한이 옹위하고..

서울 삼성동 봉은사 '지장전'

지장전은 지장보살을 모시고 죽은 이의 넋을 인도하여 극랑왕생하도록 기원하는 전각이다. 지장보살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원을 이어고통과 어려움에 처해 있는 중생들을 구하고 병든 사람을 위해 약초가 되겠다는 서원을 세워 '원력의 보살'이라고도 한고, 지옥 중생들이 모두 구제될 때 까지 지옥에서 함께 고통을 받으며 중생들을 구하겠다는 서원을 세워 '아세중생의 부처님'이라고도 부른다. 지장전은 2002년 6월 불의의 화재로 전소되어 본래 12평이었던 전각을 40평으로 중창하여 2003년 12월에 점안식을 가졌다.          등 공양 가격표를 읽다가 알았는데 하얀 등은 극락왕생등, 영가등 으로 죽은 이의 넋을 인도하여 극락왕생 하도록 기원하는 등 이라고 한다.  지장전 앞에 새로 지은듯한 건물 2채가 보인다. ..

서울 삼성동 봉은사 '대웅전'

법왕루를 지나 대웅전 앞마당에 들어서니 오색연등이 하늘을 완전히 가리고 있어 연등 이외엔 아무것도 안보이는 상황이다.  '봉은사 목조석가여래 삼불좌상' 서울시 유형문화제 제 226호, 시대: 1651년(효종 2), 2014년 3월 12일 보물 제 1819호로 지정 되었다.   이 불상들은 봉은사 대웅전 수미단 위에 모셔진  석가, 약사, 아미타불의 삼세불상들인데, 모두 나무로 만들어졌다. 불상 조성기인 1651년(효종 2)에는 이 불상들이 봉은사 대웅보전의 삼세불상으로 조성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삼불좌상 모두 조각적으로 우수하고, 발원문을 갖추고 있어 17세기 중후반의 불교조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성보로 평가된다.   대웅전은 1982년 새롭게 중창되었으며  법당 안에는 2층 닫집을 짓고 중앙에는 석..

서울 삼성동 '봉은사' 진여문~법왕루

올해 2019년은 불기 2563년으로 5월 12일이 부처님 오신 날이다. 이날을 맞이하기 위해 봉은사는 벌써 부처님 맞을 준비에 한참 분주한 모습이 여기저기 보였다. 지난 4월 5일 코엑스에 갔다가 봉은사에 들러 스마트폰으로 몇장의 사진을 찍어 온게 영 맘에 안들어 다시 카메라를 들고 찾아가 화풀이 하듯 찍다보니 사진이 너무 많다.    봉은사 입구인 일주문인 진여문 앞에는 공사로 어수선 해서 주차장 쪽에 포커스를 맞워 전경을 찍는다고 셧터를 눌렀다. 우측에 진여문과 법왕루 그리고 대웅전이 있어 사진엔 나오지 않았으며 산능선에 경기고등학교가 보인다.     주차장과 보행로엔 잔 자갈을 갈아 놓아 심하게 부는 꽃샘 바람에 먼지가 심하게 날리고 자동차라도 지날 때엔 먼지 바람에 눈을 뜰 수 없게 더욱 심하다..

(부천 둘레길 2구간) 거마산 솔안골코스, 만남의 숲~복숭아농원

이 곳에는 다른곳에 비해 소나무가 유난히 많이 보였다. 대부분 리기다소나무 였으며 간혹 토종 소나무도 보였다. 이 구간은 집 창문에서 가장 잘 보이는 곳이라 이곳에서 집을 찾아 봤으나 결국은 못찾고 말았다.        멀리 보이는 산은 인천쪽이다.    집을 찾아 보겠다고 시가지를 찍었으나 나의 집은 찾지 못했다.  송내역 쪽  순천향대학 부천병원이 보인다.  우리집 창문도 보일텐데 꼭 집어 찾지 못하겠다.                                          어느덧 복숭아밭에 도착  예전에 복숭아 나무가 가지런히 서 있었는데 어찌된 일인지 복숭아 나무는 안보이고 밭으로 변해서 농작물을 경작 하는듯 보인다.       밭에는 검은 비닐막까지 설치되어 농작물 재배가 확실해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