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5307

서울 삼성동 봉은사 '연지관세움보살상'

일주문(진여문)에서 법왕루로 올라가다 좌측 문으로 나가 작은 연못이 나오고 연못 가운데 한국 전통의 관세음보살 상이 모셔져 있다. '연지관세움보살상'이 모셔진 연못은  아미타불 극락세계의 연꽃이 핀 아홉 개의 연못 중 하나를 표현하고 있고  관세음보살 상의 손에는 감로수 병을 들었고 보관(寶冠)에는 아미타불이 새겨져 있다. 또한 관세음보살 상이 모셔진 연못은  아미타불 극락 세계의 연꽃이 핀 아홉 개의 연못 중 하나를 표현하고 있다. 관세음보살 상은 인간을 비롯하여 소리를 내지 못하는 모든 중생들 까지의 염원을 알아 보시고 그 고통을 구원해 주시는 자비의 화신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 삼성동 봉은사 '날물곳'

미륵전을 내려와 우측으로 있다.   현판은 제주도산 왕벚나무로 2013년에 만든 작품이라고 한다.    돌을 깍아 만든 물통에석공이 좀 더 노력을 기울여 거북이 도롱용, 새 등을 새겨 놓았고반대편에도 잉어, 게, 도롱용을 조금은 작난끼 섞인 재주로 새겨 놓았다.  물이 나오는 해태상 뒷편에 스텐레스 스틸의 자루가 긴 바가지가 있으니수질에 대한 정보는 안보이 지만, 한 모금씩은 마실 수 있을것 같다.    날물곳 앞에 있는 좌불상인데설명이 없어 답답하다.   뒷 배경은 미륵전이다.

서울 삼성동 봉은사 '선불당'

선불당은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 64호, 시대는 1941년 선불당은 깨달음을 얻기 위해 수행을 하는 곳이라는 의미로 1941년 대중들의 정진을 위한 선방(禪房)으로 세워졌다. 1939년에 발생한 화재로 대웅전을 비롯해많은 건물이 소실된 후 다시 지었다.조선 후기에는 대웅전 앞마당 동쪽에 승당(僧堂)인 심검당이 있고, 서쪽에는 선당(禪堂)인 운하당이 있었다. 선불당은 심검당 자리에 세워진 건물이다. 건물은 정면 8칸, 측면 3칸으로 다소 규모가 크다. 지붕은 팔작지붕이나 전, 후좌우 네 곳에 작은 합각을 두어 양 측면과 함께 6개의 합각이 보이는 특이한 구조의 건축물이다. 실내는 넓은 대중방 옆으로 온돌방과 큰 부엌이 달려 있었다.  대중방에는 계율을 일러 주는 곳,  선법 내지는 교법을 닦는 곳이란 이..

서울 삼성동 봉은사 '보우당과 향적원'

'보우당' 2000년 10월 아셈(ASEM) 정상회의를 위해 국가의 지원을 받아 사하촌을 정리하고 건립한 건물로 보우대사의 불교 중흥의 큰 뜻을 기리기 위해 '보우당'이라 이름이 붙였다.   좌측 굴뚝이 서있는 건물이 '향적원', 우측에 연꽃이 걸려있는 건물이 '보우당'이다.      '향적원(공양간)' 400여명의 대중공양이 가능한 공간으로 매주 화요일 사찰음식교육을 진행 한다고...

서울 삼성동 봉은사 '종루와 종각, 연회루(연회다원)'

봉은사 '종루'      '범종' 범종은 지옥 중생을 비롯하여 일체 중생의 해탈을 위함이다.   종신 상단부에 불기 2548년이라 새겨져 있다. 올해가 불기 2563년이니 15년이 됐다.   비천상은 선명하게 보이는데 당좌는 봉에 가려져 안보인다.   종의 하대에 아름다운 무늬가 선명하다.   하대 밑 마루는 깊이 파여있다. 아마 울림(진동)이 멀리 퍼져 나가라는 의미인듯 하다.   북(법고)  법고는 축생의 고통을 쉬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법구이다.   '목어' 물고기들의 영혼을 제도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목어는 굳게 다문 입에 여의주를 물고 있으며 돌출된 날카로운 이빨과 부릅뜬 눈을 가진 잉어의 모습을 하고 있다.   '운판' 구름 모양을 새긴 운판은 허공 세계에 사는 중생인 날짐승의 해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