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984

가시늑대거미

거미목> 늑대거미과 거미줄을 치지않고 풀밭이나 습지, 논 등을 배회하는 떠돌이 거미로 몸길이 (암)6~8mm, (수)5~7mm인 거미이다.   눈은 8개의 홀눈이 세줄로 늘어서는데 첫째줄의 눈은 크기및 간격이 같고 둘째줄보다 짦다.  배갑(머리가슴)은 흑갈색 바탕에 넓은 황백색 줄무늬가 있으며 긴 달걀 모양인데 옆면은 검고 아랫면은 밝은 갈색이다.  다리에는 길다란 센털이 있다. 산과 들의 풀밭을 돌아다니며 먹이를 잡아먹는다.

네발나비

나비목> 네발나비과 알록달록한 무늬에 이꽃 저꽃으로 빠르게 옮겨다니는 네발니비과의 대표적 나비로날개 뒷면에 C자 묘양의 문양이 새겨져 이써 '남방싸알붐나비'로도 불리운다.앞다리가 퇴화되어 사용치 않아 다리가 4개인것처럼 보이는 네발나비는거의 1년 내내 관찰되며 2∼3월에 보이는 것은 월동형의 나비이고 초겨울까지 관찰된다. 성충 상태로 월동한후 이른봄 부터 활동하여 일찍 눈에 띤다.곤충은 다리가 3쌍, 즉 6개라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로 네발나비도 원래 다리는 6개이지만 앞다리가 퇴화되어 사용치 않고 가운데다리와 뒷다리만 사용하기 때문에 우리 눈에 4개인것 처럼 보일 뿐이다.그럼 앞다리는 어디에 있는 걸까?앞다리는 퇴화되어 매우 짧아 일반 다리의 거의 절반 정도로 작으며이 다리는 항상 접어두기 때문에 잘..

무당벌레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무당벌레는 농업에 해로운 진딧물을 하루 20~30마리를 잡아먹는 익충으로이름은 무당처럼 화려한 색을 하고 있는데서 유래했다.무당벌레는 해를 넘겨서 생존하는 곤충으로 겨울엔 따뜻한 낙엽이나 썩은 나무틈 등에 무리지어 모여 거기서 겨울을 보낸다.보호액을 분비하며 이때 보호액은 다리관절에서, 애벌레는 등에 난 돌기에서 분비하는데  이 보호액은 냄새와 맛이 상당히 쓰다. 새들도 한번 무당벌레를 잡아먹은 경험이 있는 새는 결코 무당벌레를 잡지 않는다. 무당벌레를 손으로 잡으면 출처불명의 노란 액체가 묻기 마련인데 이게 그 보호액이다.행동이 매우 느긋항데 사람이 잡아도 분비액만 찔끔하고좀 있으면 바로 뒤집어 일어나서 삘삘 돌아다닌다.몸의 색 변이는 매우 다양하여 노란색, 주황색, 빨강색, 검..

나비모음

아래 사진들은 '부천자연생태공원'에 전시된 표본나비를 촬영한 것입니다. '율리씨스제비나비' 서식지: 인도네시아  '블루메이제비나비' 서식지: 인도네시아   '모나크왕나비'   '왕오색나비'   '디디우스모르포나비'   '낙엽나비' 서식지: 중국                        '헬레나금비단제비나비' 서식지: 인도네시아   '할리프론비단제비나비' 서식지: 인도네시아   '남방노랑나비'  '큰줄흰나비'   '부니아에큰흰나비' 서식지: 페루      '그라우시페끝주홍나비', '네로주홍나비' 서식지: 인도네시아   '네로주홍나비', '그라우시페끝주홍나비' 서식지: 인도네시아   '네로주홍나비'   '부니아에큰흰나비' 서식지: 페루   '에라토길쭉나비' 서식지: 페루   '매롤리나글래스윙나비' 서식지: ..

신부날개매미충

매미목> 큰날개매미충 날개가 희미한 옅은 황색의 투명막이다.자세히 살피지 않으면 부채날개매미충과 혼돈하기 쉬우나가장 확실한 것은 밑단부에 검은 무늬의 테가 있냐 없냐로 쉽게 구분된다.  날개 밑부분에 검은 무늬의 테가 선명하게 둘렀다면 '부채날개매미충'이고날개 밑부분에 무늬 테가 없이 투명하면 '신부날개매미충'이다.  또 한가지 구분은 부채날개매미충은 거의 맑은 투명이고 신부날개매미충은 날개 전체에 엷은 노란빛이 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