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 641

쉬리

잉어목> 잉어과> 모래무지아과 몸길이 10~15cm로 몸매외 몸빛깔이 아름다운 민물고기로  살코기, 쉐리라는 방언으로 불리기도 한다.  몸은 가늘고 길며 머리가 뾰족하고 돌고래와 비슷하게 생겼다.  비늘은 비교적 크고 측선(옆줄)의 비늘수는 41개이다.  측선은 완전하고 곧게 뻗는다.  등지느러미는 배지느러미보다 뒤에 있고 바깥 가장자리는 둥글다.  가슴지느러미는 가늘고 길며, 아가미 뚜껑 바로 뒤에 하나씩 붙는다.  배지느러미 1쌍은 등지느러미보다 뒤에 붙어 있는데 좀 작고 바깥 가장자리는 둥글다. 꼬리지느러미는 비교적 깊게 갈라지고 위아래 조각의 크기나 모양이 비슷하다.  옆구리의 측선 부분에는 넓은 노란 띠가 세로로 있고  그 등의 언저리는 등황색이며  아름다운 등색의 세로띠가 있다.  꼬리지느러미..

얼룩동사리

농어목> 동사리과 몸길이가 15~20cm 정도로 '꺽지''구구리'라고도 불린다.   물 흐름이 느리고 모래나 자갈, 펄이 깔린 하천 중류와 대형 호수의 돌 밑에 산다.   우리나라 고유종으로 금강의 북쪽 서해로 흐르는 하천에 산다. 사는 곳의 환경에 따라 보호색을 띤다.   육식성으로 입이 크고 이빨이 날카로워 한번 잡은 먹이는 놓치지 않으며, 자기보다 큰 물고기도 잡아먹는다.   동사리와 구별하기 어려우며 심하게 납작하지 않은 점과 무늬가 약간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동사리와 구별하지 않는다.

농게(암 수)

갑각강> 십각목> 달랑게과 40년 전에만 해도 갯벌 위에 농게가 장관을 이루고 있어 맘 먹고 잡으면 한 주전자 가득 잡아 간장에 담가 게장으로 먹었던 추억이 있다. 40년 전에만 해도 갯벌에 가면 농게가 많이 잡혀 한 데빡씩 잡아 간장에 담가 게장으로 먹곤 했던 시절이 있다. 농게의 가장 큰 특징은 수컷의 한쪽 집게발이 갑각 안면을 전부 가리고도 남는 유난히 긴 다리로 다른 게들과 쉽게 구별이 된다. 수컷의 갑각길이 30mm, 갑각너비 약 32mm이며 갑각은 앞이 넓고 뒤가 좁은 사다리꼴이다. 이마는 좁고 길게 아래쪽으로 튀어나왔으며 눈구멍은 넓고 눈자루는 길다. 암컷의 양 집게다리는 작고 대칭이고 집게발가락은 길고 숟가락모양이어서 갯벌에서 먹이를 긁어 먹기에 알맞다. 수컷의 한쪽 집게다리는 암컷과 같으..

참게

절지동물> 십각목> 바위게과의 갑각류 갑각길이 약 63mm, 갑각너비 약 70mm이다.갑각은 둥근 사각형이다.이마에는 납작하고 삼각형인 이모양 돌기가 4개 있다.갑각의 옆가장자리에는 눈뒷니를 포함하여 4개의 뽀족한 이모양 돌기가 있는데 뒤로 갈수록 작아진다.갑각 윗면은 약간 볼록하고 H자모양 홈이 뚜렷하다.양 집게다리는 댜칭을 이루며 억세고 가시가 있다.집게바닥은 짧고 넓은데, 앞면과 집게 아래쪽에 연한 털다발이 있다.걷는 다리는 가늘고 길다.식성은 잡식성으로 바다에 가까운 하천 유역에 많고, 논두렁 또는 논둑에 구멍을 파고 살기도 한다.페디스토마의 중간 숙주이므로 참게를 잡거나 사고 파는 것을 금지하기도 한다.한국에서는 황해로 흘러드는 하천 수역에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