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984

아메리카동애등에

파리목> 동애등에과 몸길이는 12-20mm로 큰 편에 속하며, 가늘고 길다. 몸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며 제2배마디에는 흰색 또는 황갈색의 크고 반투명한 무늬가 있다. 머리는 짧으나 폭은 매우 넓고, 더듬이는 매우 길다. 가슴등판에는 연한 황백색의 털다발이 세로띠를 형성하고 평균곤은 흰색이다. 날개는 투명하며 전체적으로 검은색을 띠고 약한 보라색 광택이 있다. 유충은 음식물 쓰레기 및 각종유기물을 섭식하며, 성충은 식당 주변이나 음식물 쓰레기 더미 등에서 쉽게 관찰된다. 이 종의 유충은 탁월한 유기물 분해능력이 있어 음식물쓰레기의 처리에 적용되어 산업화되어 있다.

익모초 꽃에서 꿀을 빨고있는 호랑나비

나비목> 호랑나비과> 호랑나비아과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개체수가 많다. 대표적 나비로 옛명칭은 호접(胡蝶)이라 한다. 봄형과 여름형이 있으며 암컷은 수컷보다 조금 크다. 애벌레는 다 자라면 몸길이가 45mm에 이르며 몸빛깔은 녹색이고 셋째마디에 뱀눈 모양의 무늬가 있다. 몸 양 옆에는 검은색의 빗줄이 2개 있다. 알을 낳을 때는 탱자나무, 귤나무, 산초나무의 잎 뒷면이나 줄기에 1개씩 낳는다. 익모초의 꽃에 매달려 꿀을 빨고 있어 카메라를 들이 대는데 입맛에 맞지 않는지 바로 자리를 뜨고 만다.

꼬마호랑거미

거미목> 왕거미과 몸길이는 암컷 8∼12mm, 수컷 4∼5mm가량으로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크다. 머리가슴은 노랗고 흰털로 덮인 어두운 무늬가 있다. 목홈·거미줄홈·가운데홈은 갈색이다. 가슴판은 검고 가운데에 미색 무늬가 있다. 다리는 엷은 적갈색을 띠며 흑색 고리무늬가 있다. 배의 앞부분은 노랗고 은색 비늘무늬와 1개의 검은 띠가 있다. 뒷부분에는 노란 띠무늬를 가로질러 2줄의 넓은 갈색무늬가 지난다. 배 아랫면은 검은색이며 3쌍의 흰점무늬가 길게 뻗는다. 양 밑쪽도 흰줄무늬에 싸인다. 수컷의 배는 털이 적고 편평하며 엷은 갈색이다. 산과 들의 나무 밑이나 나무 사이에 X자 모양 흰 띠줄을 지닌 둥근 그물을 친다. 소리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몸을 빠르게 지면이나 풀숲으로 숨긴다. 뒷면

소금쟁이(짝짓기 모습)

노린재목> 소금쟁이과노린재목> 소금쟁이과 몸 길이는 11~16mm이며 몸은 흑갈색 또는 검은색 바탕에 갈색 무늬를 띠고, 은빛 잔털이 빽빽하게 나있다. 머리에는 V자 모양의 갈색 무늬가 있다.  더듬이는 가늘고 매우 짧아서 몸 길이의 절반 이하이다. 제1마디는 2~3마디를 합한 길이보다 더 길다. 앞가슴등판은 앞쪽 1/4 부위에서 약간 협착되고 가로로 굴곡을 이룬다.  중앙부는 종주선이 볼록하다. 옆 가장자리는 후반부에서 약간 돌출하였다가 다시 좁아진다. 앞날개는 장시형과 단시형 모두가 나타난다. 거의 모든 정수역과 유속이 느리거나 정체된 유수역에 서식한다. 표면장력의 대가로 수면에 떠서 미끄러지듯 이동하고,  수면으로 올라오거나 떨어진 곤충류와 같은 작은 동물들을 포획해 체액을 빨아먹는다.  부엽식물이..

빌로오도재니등에

파리목> 재파리목> 재니등에과 몸길이 7~11mm이다. 성충의 몸빛깔은 검은색이지만 연한 황색의 긴 털이 나 있다. 머리 앞쪽은 튀어나와 있으며 황색의 긴 털로 덮여 있다. 더듬이는 검은색으로 가늘고 길며, 제1마디는 막대 모양이고 제2마디는 원통형이다. 제3마디는 앞의 2마디를 합한 것의 1.5배 정도 되고, 중앙부는 다소 굵고 끝으로 갈수록 가늘다. 끝부위의 털은 짧고 작으며 기부에 공모양에 가까운 1개의 마디가 있다. 다리는 가늘고 길며 황적색이고, 기부는 연갈색이다. 날개의 앞 절반은 검은색이며 그 뒷가장자리는 물결 무늬를 이룬다. 배는 짧고 굵으며 꼬리끝과 옆가장자리의 중앙부에 검은색 털이 섞여 있다. 온몸이 벨벳처럼 부드러운 털로 덮여 있다. 앞으로 툭 튀어나온 머리와 긴 주둥이가 특징이다. ..

청띠신선나비

나비목> 네발나비과 몸길이 50~60mm이다. 암컷과 수컷은 빛깔이나 무늬의 차이가 적어 배끝의 모양으로 구별을 한다. 여름형은 날개 아랫면에 검은색·갈색·청백색의 가는 무늬가 많고 색의 짙고 연함이 뚜렷하나, 가을형은 흑갈색을 띠며 색의 짙고 연함의 차이가 적다. 노숙 애벌레의 몸길이는 45mm에 달하며, 몸은 원통형으로 검은색이고 돌기는 노란색이다. 추운 겨울 숲 속 나뭇잎 밑에서 나비로 지내다 기온이 올라가면 날갯짓을 하며 다시 세상으로 되돌아오는 몇몇 종류의 월동형 나비를 보면 그저 신비롭기만 하다. 나비 상태로 혹독한 영하 25를 견뎌내며 봄에 다시 우리 곁에 나타나는 네발나비, 청띠신선나비를 보면 경이롭기만 하다. 4월 3일(토) 비가 온다는 일기예보에 만개한 벚꽃이 지기전 꽃놀이 다녀오겠다고..

참나무노린재

노린재목> 참나무노린재과  몸길이 약 12mm로 몸은 연한 녹색이며, 가늘고 작은 흑색의 점각이 산재한다.  머리는 작고, 점각이 없으며, 겹눈은 흑갈색이고, 홑눈은 서로 접근하여 있고 홍색이다.  더듬이는 길고 연한 녹색이며, 제 1마디가 가장 길고,  제 2마디는 그 다음으로 길며 그 기부의 관절부는 흑색이다.  앞가슴등판의 옆가장자리와 반시초의 전연부는 황록색 내지 연한 백색이고, 막질부는 무색 투명하나 수 개의 연한 흑색의 세로줄이 있다. 몸의 아랫면과 다리는 황록색이나, 노성한 개체에서는 갈색이 되기 쉽다. 종아리마디의 기부는 흑색이며 또 그 말단과 발목마디는 암색이다.

아메리카동애등에

파리목> 동애등에과 이 녀석 한 여름에 봤었는데 쌀쌀한 10월 말에도 보인다. 기온 탓일까, 한 여름 보다는 행동이 활발하지 못하고 느린 듯 보였다. 생김새가 벌 같이 보이지만  쏘거나 집파리처럼 성가시게 하지도 않고, 병을 옮기지도 않는다. 재래종인 동애등에와는 생김새와 습성이 꼭 닮았다. 잘 보면 동애등에와 달리 흰 양말을 신은 것처럼 다리끈 마디가 희고 더듬이도 더 길어서 구별할 수 있다. 원래 미국에서 서식하다가 한국으로 유입된 곤충으로 국내에서는 1990년 처음 발견되었으며, 몸길이는12~22mm 정도이다. 동애등에의 유충은 배설물이나 기타 음식물 쓰레기에서 번식한다. 음식물 쓰레기와 축산 분뇨 처리에 활용하기 위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사육도 하고 있다고 한다. 이런 서식 조건 상 하수구나 ..

뒷창참나무노린재

노린재목> 참나무노린재과 곤충이 거의 모습을 보이지 않는 가을이 깊어갈 쯤인 11월 이면 이 녀석을 보게 된다. 전등사 어느 별채의 문설주를 기어 오르는게 눈에 띄어 메크로 렌즈가 아니라 잘 나오지 않으리라 생각이 들면서도 셧터를 눌렀다. 몸길이 수컷 약 12mm, 암컷 약 15mm이다. 몸의 등배면은 균일한 황갈색이고 촉각, 주둥이, 다리도 같은 빛깔이다. 머리는 황갈색이 짙다. 촉각은 5마디인데, 제2마디가 가장 길고 제3마디가 가장 짧다. 겹눈은 흑갈색, 홑눈은 황적색, 주둥이 끝은 검은색이다. 앞가슴등판의 앞쪽에 불규칙하게 솟아오른 부분이 있다. 작은방패판은 삼각형이고 끝은 예각이다. 반딱지날개에 검은색의 작은 점이 드물게 나 있다. 막질부는 투명하고 날개맥은 뚜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