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984

뚱보기생파리

파리목> 기생파리과 몸길이 13mm로 겹눈은 짙은 갈색을 띠며 가슴 위쪽은 검은색, 측면은 황색을 띤다. 배부분은 광택이 있는 황갈색이며 중앙에 세로로 3개의 검은 점무늬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배의 등면에는 광택이 있으며 등면 중앙에는 4개의 흑색 무늬가 세로로 줄지어 있다. 더듬이와 다리는 모두 검은색을 띤다. 알·애벌레·번데기·어른벌레를 거치는 갖춘탈바꿈을 한다. 어른벌레는 노린재류의 몸속에 알을 낳으며, 애벌레는 노린재류의 몸속에서 체액을 먹고 자란다. 이때 기주곤충이 된 숙주는 죽게 되며, 다자란 애벌레는 번데기와 어른벌레 시기를 거쳐 몸밖으로 나온다. 노린재류의 체내에서 애벌레의 크기는 5~7mm에 달한다. 노린재류의 약충에 산란을 하게 되며, 대부분 노린재는 어른벌레가 된 직후 죽게 된다.

무당벌레 애벌레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무당벌레는 알-> 애벌레-> 허물벗기 -> 번데기 -> 성충 의 완전변태를 한다. 알에서 부화가 진행되어 애벌레가 생기면 까만색이나 노란색으로 변한다.   애벌레는 배끝부분에 찍찍이 처럼 수많은 갈고리털로 붙잡고 잎의 뒷면을 기어 다닌다.   하루에 진딧물 20-30마리 이상을 잡아먹는다. 자기 몸무게보다 많이 먹는 것이다.   무당벌레 애벌레가 한창 기승을 부릴 초여름에는 동네 곳곳에 검고 노란 무늬의 무당벌레 애벌레와 번데기를 지겹도록 볼 수 있다.

수검은산꽃하늘소

딱정벌레목> 하늘소과 몸 길이는 6~9mm이다. 원통형이며 앞가슴은 단순하고 딱지날개는 뒤쪽이 둥글다.암컷은 딱지날개가 붉고, 수컷은 몸 전체가 검은색이어서 수검은산꽃하늘소라는 이름이 붙었다.  종종 암컷의 딱지날개에 검은 반점이 있는 변이도 발견된다.5~7월 초순까지 활동하며 다양한 꽃에서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보통 짝짓기도 꽃 위에서 이루어진다.

황각다귀

파리목> 각다귀과 앞가슴등판에 검은 세로 줄이 3개 있다. 작은방패판 가운데 부분에 짙은 갈색 무늬가 있다.  머리는 황색이고 정수리에 작은 흑갈색 무늬가 있다. 몸빛깔은 밝은 황색이지만 배는 암갈색인 경우가 많다. 겹눈은 흑색이고 주둥이는 황색이지만 작은턱수염은 약간 암색이다. 모기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사람의 피를 빨아먹지는 않는다. 모기보다는 다리와 몸이 긴 것이 제일 큰 차이점이다.

쟈바꽃등에

파리목> 꽃등에과  쟈바꽃등에의 특징으로 배끝부분 양쪽가에 점이 4개 있고가운데 가로지르는 굵은 세로줄이 있다.몸길이는 10mm내외이며 전체적으로 황색이며 배에 흑색 줄무늬를 갖는다. 머리는 황색을 띄며 황색 미모를 갖는다. 더듬이도 황색을 띠나 윗부분은 흑갈색을 나타낸다. 가슴의 등판은 황색 털로 덮여 있이고 흑색을 띠나 광채가 난다. 가슴 옆판은 황색을 띠며 부분적으로 구릿빛의 광채가 난다. 다리는 전체적으로 황색이지만 뒷다리에 부분적으로 갈색을 보인다.  날개는 투명하고 배는 황색 바탕에 흑색의 줄무늬가 교대하는 형태를 보인다.

호랑거미

거미목> 왕거미과 거미줄을 쳐 놓고 먹이가 걸리기를 기다리는 정주성(定住性)거미로 6~9월에 볼 수 있다.  크기는 암컷 20~25㎜, 수컷 5~8㎜ 정도이다.   특이하게 거미줄에 약간 진하게 좌우 교차하는 부분을 만든다. 이 X자꼴의 흰색 띠무늬는 곤충을 유인하기 위한 것이라고 한다.   X자꼴의 흰색 띠가 햇빛의 자외선을 반사하게 되면 꿀을 먹는 곤충들은 그것을 꽃의 꿀샘으로 착각해 달려든다.   머리가슴은 다소 납작하며 어두운 갈색 바탕에 짧은 은백색 털로 덮여 있다. 가운데홈은 세로로 길고 목홈과 거미줄홈이 뚜렷하다.   눈 부위가 머리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눈은 8개의 홑눈이 두 줄로 늘어서는데, 앞눈줄은 곧고 뒷눈줄은 앞으로 심하게 굽는다. 옆눈은 서로 닿아 있다. 가슴판은 가운데에 누르스름..

신부날개매미충

매미목> 큰날개매미충과 날개는 투명하고, 앞날개 전연부에 노란 무늬가 있다. 날개는 크고 세모꼴로 날개의 바깥쪽 테두리가 어두운 색인 것을 제외하고  안쪽면 날개가 전체적으로 투명한 형태이다.  특히 성충의 날개가 넓게 형성된 모습이 부채처럼 보여 붙여진 종이다.   이들의 유충은 밝은 백색이며  특히 배마디 끝부분에는 솜털같은 돌기가 특징입니다.  성충과 유충은 주로 갈대와 같은 초본식물류에 붙어 흡즙을 통한 먹이활동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