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984

점박이검정꽃파리

파리목> 검정파리과  체장: 5-6.5mm로, 머리는 광택이 나는 검은색이며 얼굴 부분이 앞으로 돌출되어 있다. 후두부 아래쪽은 흰색 가루로 덮여 있으며 밝은 노란색의 짧은 털이 있다. 윗부분은 눈의 가장자리를 따라 검은색 짧은 털이 있다. 몸통은 광택이 있는 검은색이며 흰색의 가루가 덮여 있고 등판은 검은색 짧은 털이 있으며 털이 있는 부분은 검은색이다. 몸통 가장자리는 검은색 긴 털이 듬성듬성 있으며 날개 기부와 뒤 혹에 긴 검은색 강모가 있다. 작은 방패판에는 가장자리에 네 개의 강모가 있다. 날개는 투명하며 앞쪽 끝부분에 검은색 무늬가 있다. 다리는 검은색이며 종아리마디는 갈색을 띤다. 배는 검은색이며 둘째마디에 크게 황갈색의 반투명한 둥근 무늬가 있으며, 첫 번째 마디와 세 번째 마디는 그것보다..

줄점팔랑나비

나비목> 팔랑나비과 통통한 몸매에 머리가 크다.앞날개의 길이 13~21 mm이다.  날개의 앞면은 흑갈색이고 뒷면은 황갈색, 양면에 반투명의 흰 점무늬가 있다.  앞날개에서는 약간 반달 모양으로 7∼8개가 줄지어 있고 뒷날개에서는 가로로 4개가 한 줄로 줄지어 있다.  뒷날개의 아랫면은 황색에 네 개의 흰 점무늬가 일자로 있는 것이 유사종과의 구별점이다. 갈대 ·강아지풀 ·왕바랭이 등도 먹는다. 유충으로 월동한다. 낮은 산지에서 보통 볼 수 있으며 밭이나 길가에 많다.북한에서는 희롱나비로 불리는데, 이 꽃 저 꽃에 앉았다 날았다를 반복하는 모습에 붙여진 이름이다.

배추흰나비

나비목> 흰나비과 암컷과 수컷에 따라 모양이 다르나 대개 백색이며 앞날개 앞쪽에는 검은 반점이 2개, 뒷날개에는 1개가 있다. 수컷은 암컷보다 몸이 가늘고 더 희다.  배추·무·양배추 등의 겨자과 작물에 피해를 끼치는 해충이다.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흰나비 무리 중 우점종이다. 연 4~5회 발생하며, 3월 중순부터 11월에 걸쳐 나타난다. 산지보다는 농경지 주변, 하천 주변, 공원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스즈키나나니등에

파리목> 재니증에과 몸길이 20mm, 날개 편 길이 30mm이다.  비교적 대형 등에류로 거대한 겹눈으로 인해서 가슴보다 머리의 폭이 더 넓다.  정수리 쪽에는 작은 홑눈이 있으며 은색털로 덮여 있다.  더듬이는 세 마디가 모두 검은 색을 띤다.   주둥이는 황색이며, 끝부분은 검은색이다.  가슴등판은 검은색이고 어깨의 혹 부터 앞가슴 옆가장자리에 이르는 1개의 띠무늬와  가운뎃가슴등판 옆면에 세로로 달리는 3개의 무늬는 황색이다. 날개의 맥은 흑갈색이다. 다리는 황색인데 앞다리와 발목마디는 흑갈색을 띤다.  배의 등면과 배면의 색 구분이 선명하다. 한여름 낮은 산지에서 발견되며,  산지와 접한 곳이나 물가 주변에서 다른 곤충을 잡아먹는다.

풀멸구

매미목> 멸구과 몸은 가늘고 길며 길이 수컷 약 5.5mm, 암컷 약 6.3mm이다. 몸빛깔은 대체로 연한 황록색이고,  몸의 밑면은 초록색을 띤 연한 황갈색 또는 칙칙한 노란색이다.  머리는 길게 앞쪽으로 튀어나오고 정수리는 연한 황갈색이다. 양 옆가장자리는 약간 솟아올라 중앙이 오목하나 앞가장자리는 튀어나와 보인다. 뒷가장자리는 직선이고 양 겹눈 사이로 깊게 안쪽으로 구부러져 지붕 모양으로 패어 있다. 이마는 길고 편평하며 3줄의 융기선은 평행하다.  주둥이는 연한 황록색이나 끝은 흑갈색이다. 겹눈은 흑갈색으로 길며 중간 뒤편 아래쪽에서 깊게 패어 잘록하고 그 오목한 자리에 촉각(더듬이)이 있다. 홑눈은 어두운 홍색이다. 앞가슴등판은 초록색을 띤 연한 황갈색이고 중앙에 3줄의 세로융기선이 있으며,  ..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노린재목> 허리노린재과 산과 들의 잡초 위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성충의 나는 모습이 벌과 비슷해 오해 받기도 한다. 성충의 몸길이는 1.5cm이며, 허리가 좁고 세 번째 다리가 발달되어 다리부위에 톱니모양의 가시가 달려 있는 것이 특징이다. 성충은 14~17mm이고 폭은 2.5~3mm로 비교적 크다. 수컷은 머리와 가슴 측면에 검은 선이 있고, 황색의 불연속 무늬가 뚜렷하지만 암컷은 불명확하다. 약충은 형태나 행동이 개미와 유사하다. 과거에는 큰 피해가 없었으나 최근 농약사용이 보편화되고 천적이 사라지면서 전국적으로 크게 발생을 하고 농작물에 피해를 준다. 연 2~3회 발생하며 포장 잔재물이나 포장 주위의 잡초 등에서 성충으로 월동한 후 다음 해 봄 기주작물로 이동하여 피해를 준다. 가해작물은 콩과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