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잔 등잔 촛대 토기등잔 기름병 주방용벽걸이등잔 목재등정 광명대 와룡촛대 조족등(照足燈) 순라꾼이 야경을 돌때 사용했던 등 휴대용 명기구로 앞 발을 비춘다 하여 조족등(照足燈)이라고 불렀다. 내부에는 상하좌우로 회전하면서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철재 초꽃이가 있어서.. -----[가지가지]-----/추억의 물건, 풍경 2007.01.10
갓, 망건,정자관,투구,방갓,벙거지, 전립,방갓 '정자관' 평상시 집안에서 쓰는 관 떠구지머리 갓 햇볕이나 비를 가리기 위해 사용하기 시작한 관모 탕건 상투를 틀때 머리카락이 흘러내려 오지 않게 하려고 이마에서 두통수에 걸쳐 두른다. 탕건 앞쪽은 낮고 뒤쪽은 높이 턱이 져 있다. 탕건은 관직자만이 사용할 수 있으며 망건 위에 썼다. '망건' 상투를 튼 사람이 머리카락을 걷어 올려 흘러내리지 않토록 머리에 두른다. 갓끈 갓 손질도구 투구 전립 벙거지 방갓 -----[가지가지]-----/추억의 물건, 풍경 2007.01.10
생활도구 신부용 가마 함 여인들의 주머니와 노리개 참빗 장도칼 마차바퀴 마차 부엌의 가마솟 놏그릇과 생활도구 용구지 떡시루 신선로 디딜방아 돌절구 곰방대 바둑판 장기판 -----[가지가지]-----/추억의 물건, 풍경 2007.01.10
도자기(청자) 청자는 자체적인 노력과 중국 도자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10세기부터 시작하여 12~13세기에는 최상품인 비색청자와 상감청자가 생산되었으며 특히 비색청자는 송나라 사신이었던 서긍이 고려도경 에서 극찬을 할 정도로 매우 아름답고 뛰어났다. 주전자 제작과정 청자원숭이형도장 .. -----[가지가지]-----/추억의 물건, 풍경 2007.01.10
뒤껻 옛풍경 용두레 낮은 곳의 물을 높은 곳으로 퍼 올리는데 쓰는 기구 용두레로 물을 푸다가 물이 깊어지면 두 사람이 마주서서 각각 두 줄씩 쥐고 물을 푸는 맞두레질을 한다. 돌적구 위에 멍석을 말아서 쌓아둔 모습 -----[가지가지]-----/추억의 물건, 풍경 2006.10.25
대청마루 풍경 대청마루 가운데 귀틀을 평행하게 넣은 마루를 우물마루라 한다. 귀틀이 없는것을 장마루, 귀틀이 사선으로 넣은것을 골마루 라 한다. ★ 마루는 규모와 쓰임에 따라서는 대청마루, 툇마루, 누마루, 쪽마루, 들마루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지가지]-----/추억의 물건, 풍경 2006.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