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어목> 청어과
몸길이는 15㎝ 정도로, 현저하게 옆으로 납작하며 가늘고 길다.
몸빛이 등쪽은 청록색, 옆구리와 배 부분은 은백색을 띤다.
몸집이나 비늘, 몸색깔 등으로 보아 멸치와 비슷하지만 멸치보다 훨씬 납작하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긴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전어와 유사하나 등지느러미의 끝이 실처럼 연장되어 있지 않는 것이 크게 다른 점이다.
강물이 바다로 들어가 담수와 해수의 혼합작용이 일어나는 기수역)(汽水域)의 모래와 진흙이 있는 곳에서 집단으로 서식한다.
봄부터 가을까지는 수심이 얕은 만이나 하구 부근에 머물다가, 겨울이 되면 수심이 20∼50m인 연안과 만의 중앙부로 이동한다.
수온이 16∼18℃가 되는 6∼7월이 되면 강 하구와 연안에서 산란한다. 육식성으로서 주로 동물성 플랑크톤을 먹는다.우리말에 '오뉴월 밴댕이'라는 말이 있는데, 이 말은 변변치 않지만 때를 잘 만났다는 것을 빗대어 하는 말이다.
이처럼 산란기를 맞아 기름기가 오르는 음력 5~6월에 가장 맛이 좋다.
밴댕이는 주로 회, 구이 등으로 먹는데, 말려서 육수용 으로 사용하거나잡은지 12시간 정도가 지나면 젓갈용으로 사용된다.
밴댕이젓은 진미의 하나로 취급되었으며 진상품이나 공상품(供上品)으로 쓰였다.
흔히 속이 좁고 너그럽지 못한 사람을 '밴댕이 소갈머리(소갈딱지) 같다'고 하는데, 실제로 밴댕이는 그물에 잡힐 때 받는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해 몸을 비틀며 떨다가 곧 죽어버린다.
그래서 어부들조차도 살아있는 밴댕이를 쉽게 볼 수 없다.
살이 무르기 때문에 쉽게 부패해 10년 전까지만 해도 뱃사람들 외에는 횟감으로 사용하기는 어려웠다.
국물을 내는 다시용 밴댕이(디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