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죽납작진딧물 충영 분명히 때죽나무에 동그란 열매(맨 밑에 사진)가 열려 있는데 같은 가지에 왠 몽키바나나(?)가 여기저기 주렁주렁 열려 있는게 아닌가 산에 숲이 욱어져 다른 가지를 잘못 본건가 몇번을 확인해도 때죽나무다. 바나나 열매는 때죽나무납작진딧물의 벌레집(충영)이었다. 같은 때죽나무에 달려있던 열매 -----[곤충]-----/기타 곤충 2013.07.08
민강도래 성충 강도래목> 민강도래과 민강도래는 봄철 산수유 꽃이 피기전 우화하여 활동을 한다는데 따뜻한 봄 햇살에 부지런히 날아 다닌다. 꼬마강도래와 민강도래가 헷깔리는데 한국의 곤충자원에 보면 꼬마의 체색은 밝은 갈색이라니 민강도래로 이름을 올린다. -----[곤충]-----/기타 곤충 2013.03.22
산바퀴 바퀴목> 바퀴과 몸 길이 11.5~14mm이며 집 바퀴와 비슷하지만 앞가슴 좌우에 진한 줄무늬가 있다. 산 바퀴는 사람이 사는 집에는 들어오지 않는 야외 서식종으로 숲의 바닥이나 낙엽층에서 서식한다. 연일 계속되는 폭염에 지쳐 커다란 참나무 숲으로 들어가 쉬려는데 나의 발자욱 소리에 놀랐는지 뭔가가 바삐 움직이는 것이 보인다. 긴장을 하고 들여다 보니 바퀴 같은 모습을 한 벌레다. 이곳은 민가에서 최소한 1km 이상 떨어진 산속으로 바퀴가 보이는것이 신기했다. 움직임은 매우 빠른데 자기 구역이라고 침입자에게 텃세를 하는건지 멀리 이동하거나 숨지않고 일정 거리를 두고 조금가다 돌아보기를 계속하는게 아닌가 접근을 시도 하며 촛점을 맞춰 보지만 낙엽을 밟으며 쫒아가려니 번번히 이녀석에게 발각된다. 사.. -----[곤충]-----/기타 곤충 2012.07.27
쐐기나방 고치 이렇게 보니 작은 새알 같기도 하군요.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노랑쐐기나방 고치" 처음 발견 했을땐 짐승의 응가로 알았습니다. 공룡알 같아 보이는 이 고치에서 어떤 나방이 나올지? 대부분 나무가지에 붙이는데 나뭇잎에 붙어 있는 놈도 꽤 되는듯 발견이 되었어요. 혹한의 겨울을 어찌 지낼지? -----[곤충]-----/기타 곤충 2011.02.18
묽은별무늬병 (적성병) 병충해 녹균의 일종인 Gymnosporangiun 속(屬)의 병원균에 의해서 보통 4~7월에 걸쳐 발생한다. 사과나무 · 배나무잎에 얼룩점 무늬의 작은 황색 무늬가 생기면서 이것이 차차 커져 적갈색 얼룩점이 된다. 잎의 뒷면은 약간 솟아오르고 털 모양의 돌기가 생겨 여기에서 녹포자가 나온다. 녹포자는 중간숙주인 향나무류에서 발아하여 기생 ·월동한다. 담배의 붉은별무늬병은 Alternaria longipes균에 의해 발생한다. 증세가 악화되면 일찍 낙엽이 지게 되므로 피해가 크다. 중간숙주인 향나무류를 제거함으로써 방제할 수 있다. (네이버 백과) -----[곤충]-----/기타 곤충 2010.10.04
??애벌레 허물 (곤충의 특징) 곤충의 이름과 특징에 대해,, <곤충의 특징> 1. 머리, 가슴, 배(꼬리) 등 3부분으로 되어 있다. 2. 1쌍(2개)의 더듬이가 있다. 3. 3쌍(6개)의 다리가 있다. 4. 1쌍(2개)의 겹눈과 3개의 홑눈을 가지고 있다. 5. 2쌍(4개)의 날개가 있다. 6. 변태를 한다. 이 가운데 한가지라도 갖추지 못하면 곤충이.. -----[곤충]-----/기타 곤충 2010.09.05
고마로브집게벌레 집게벌레목> 집게벌레과 집게에 돌기가 있으면 숫놈이랍니다. 이놈은 암놈인가 봅니다. 아주 작은곤충이나 부패된 동,식물을 먹는 해충보다는 익충으로 분류되며 집게벌레중 집게가 가장 긴 종으로 검은 몸체에 윤기까지 있어 쉽게 접근하기 꺼려지는 놈 이었습니다. 하지만 사람을 물거나 하는 곤충은 아니라니 무서워 할 필요는 없답니다. 고마로브는 러시아의 식물학자의 이름으로 그 업적을 기리기 위해 고마로브라는 이름이 학명이 되었고 우리말 이름에서도 그대로 따랐다고 합니다. -----[곤충]-----/기타 곤충 2010.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