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간지주 3

서울 삼성동 봉은사 '대웅전'

법왕루를 지나 대웅전 앞마당에 들어서니 오색연등이 하늘을 완전히 가리고 있어 연등 이외엔 아무것도 안보이는 상황이다.  '봉은사 목조석가여래 삼불좌상' 서울시 유형문화제 제 226호, 시대: 1651년(효종 2), 2014년 3월 12일 보물 제 1819호로 지정 되었다.   이 불상들은 봉은사 대웅전 수미단 위에 모셔진  석가, 약사, 아미타불의 삼세불상들인데, 모두 나무로 만들어졌다. 불상 조성기인 1651년(효종 2)에는 이 불상들이 봉은사 대웅보전의 삼세불상으로 조성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삼불좌상 모두 조각적으로 우수하고, 발원문을 갖추고 있어 17세기 중후반의 불교조각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성보로 평가된다.   대웅전은 1982년 새롭게 중창되었으며  법당 안에는 2층 닫집을 짓고 중앙에는 석..

대구 팔공산 동화사 (해탈교~통일약사대불)

해탈교(解脫橋) 동화사 봉서루 앞마당에서 인악대사나무를 지나 큰 계단을 내려오면 만나게 되는 아치형다리 이다.  설법전   대웅전에서 다시 옹호문을 지나 두마리의 용이 지키고 있는 계단을 내려가 해탈교를 건너게 된다.   인악대사 나무 수령이 약 500년 된 느티나무로 설법전 우측에 위치해 있다. 동화사와 인연이 깊은 인악대사를 기리기 위해 인악대사 나무로 명명하였다.   수령: 500년에 수고: 20m, 나무둘레: 5.4m 거목으로 문화적, 역사적 가치가 있어 보호수로 지정되어 있다.   안익대사나무 밑 무성한 느티나무 낙엽 위에 왠 오동나무 열매가 눈에 띈다.  앙상한 가지만 남은 겨울나무를을 두리번 거려 봐도 오동나무는 안보이는데.....   832년 '심지왕사'가 크게 중창할 때 겨울인데도 사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