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로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하기도 하는 친근감을 주는 식물이다.
불교의 출현에 따라 연꽃은 부처님의 탄생을 알리려
꽃이 피었다고 전하며 불교에서의 극락세계에서는
모든 신자가 연꽃 위에 신으로 태어난다고 믿었다.
중국에서는 불교 전파 이전부터
연꽃이 진흙 속에서 깨끗한 꽃이 달리는 모습을
속세에 물들디 않는 군자의 꽃으로 표현하였고
종자가 많이 달리는 현실을 다산의 징표로 하였다.
중국에 들어 온 불교에서는
극락세계를 신성한 연꽃이 자라는 연못이라고 생각하여
사찰 경내에 연못을 만들기 시작하였다.
불경의 꽃
연꽃은 다른 꽃의 아름다움과는 달리
수려함과 고결한 풍요로움을 지니고 있다.
이는 세연꽃은 다른 꽃의 아름다움과는 달리
수려함과 고결한 풍요로움을 지니고 있다.
이는 세속을 초월한 깨달은 경지, 완성과 원만의 경지를 연상하게 한다.
따라서 아름다운 여인에 견주기보다는
세속을 초월한 선인, 원만의 경지에 이른 부처님이나 보살의
넉넉하고 청정한 모습을 보여주는 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연꽃은
불교의 깊은 사상과 일맥상통하는 의미와 상징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부처님께 올리는 육공양물인
꽃, 향, 초, 탕, 과일, 차 중 꽃 공양이 으뜸인데
그 중에서도 연꽃 공양을 제일로 치고 있다.
연꽃에 담겨진 여러 가지 의미를 대입하여
경전의 이름을 붙이기도 하였으니
이를 「묘법연화경」, 줄여서 「법화경」이라 한다.
군자
내가 오직 연을 사랑함에 진흙 속에서 났지만 물들지 않고,
맑은 물결에 씻겨도 요염하지 않으며,
속이 소통하고 밖이 곧으며 덩굴지지 않고 가지가 없음이다.
향기가 멀수록 더욱 맑으며 우뚝 깨끗이 서 있는 품은
멀리서 볼 것이요, 다붓하여 구경하지 않을 것이니,
그러므로 연은 꽃 가운데 군자라 한다.
중국 북송시대의 유학자 주돈이는
'애련설'에서 연꽃을 꽃 가운데 군자라 하였다.
이는 연꽃이 진흙속에서 피어나지만 깨끗하고 향기로움이
세상의 풍파에 얽매이지 않은 군자같은 풍모를 가졌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