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우 3

서울 동묘공원 '동관왕묘' (관우 사당)

동관왕묘는 서울의 동쪽에 있는 관왕묘라는 뜻으로, 관왕묘는 중국의 장수 관우(關羽 : 162~219)의 조각상을 두고 제사를 드리는 사당이다. 임진왜란 때 우리나라를 도와준 명나라의 요청으로 1601년(선조 34)에 지었다. 명나라에서는 공자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인 문묘(文廟)처럼 관우의 제사를 지내는 사당을 무묘(武廟)라 하여 크게 숭배하였는데, 우리나라에서도 조선시대 후기에 무묘를 많이 지었다. 동관왕묘의 중심건물은 두 개의 건물이 앞뒤로 붙어 있는데, 이것은 중국의 절이나 사당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조다. 지붕은 높은 丁자 모양과 一자 모양이 합쳐진 工자 모양이다. 실내 공간도 앞뒤로 나뉘어 있는데, 앞의 제래를 위한 전실이고 뒤는 관우와 부하장군들의 조각상을 둔 본실이다. 전실과 본실을 감싼 벽..

'한중문화관 2층 전시실(삼국지)

삼국지(三國志)는 진(晉)나라의 학자 진수(陳壽233~297)가 편한한 것으로 [사기(史記)], [한서(漢書)], [후한서(後漢書)]와 함께 중국 전사사(前四史)로 불린다. 위서(魏書) 30권, 촉서(蜀書) 15권, 오서(吳書) 20권 합계 65권으로 되어 있으나 표(表)니 지(志)는 포함되지 않는다.  좌: 관우(關羽),          우: 제갈량(諸葛亮) 관우: 자(子)는 운장(雲長)이며 원래의 자(子)는 장생(長生)이다.시호(諡號)는 장목후(將穆候)이며 수염이 아름다워 미염공(美髥公)이라고도 불렸다. 위진남북조시대를 대표하는 장수로 오나라 반장과 마충에게 잡혀 항복을 강요 받았으나 끝까지 유비와의 의리를 지키고 죽어 충성의 상징으로 불린다.이후 민간 신앙의 대상이 되어 '관성제군(關聖帝君)' 이나..